2024 Artist Statement (한글 설명문은 아래에 있습니다)

Ayana Hanbich Lee Artist statement :

Ayana Hanbich Lee, an abstract painter, was intrigued by witness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paper, between East Asia and Western. Similarly, in life abroad, she was experiencing a cultural clash, and she reflected on the material as somewhat herself that she got the emotional entanglement with paper. 

In Lee’s earlier works, she embedded the root of her hair in the process of painting, to keep her presence. Later on, the paper took that place instead, as an endeavor to deliver the currentness, the current state of her being

The feature of the paper, the flexibility in formal variation made it easy to deliver instancy and immediate projection of the state of her mind and emotion. She wanted to entangle material more personally, so she studied paper-making techniques so that she could be more in control of the deliverance through the material.

One of Lee’s paper painting series is called OOlda. In her mother tongue Korean, the word ‘oolda(울다)’ has two definitions. One is crying and the other is the wrinkle on paper. By containing those two meanings, She used wrinkles of paper to deliver the state of her currentness (focused on the complexity of emotion), Projecting herself in material led the series more to the burst of emotion in-depth. Since this series, the layering of the elements became an important language in her artworks, and the compression of ‘the moments’ is still her core value in her painting.

Other forms of Art like Creative writing and Videography take sequential sceneries and scenes that contain time in different periods and take time to consume. Sequence is a methodological tool in writing or film-based work, which leads the flow to the next components. That overall structure creates a whole story and adds up to a solid message. Page after page, or cut after cut, the single segments cannot be opted out to fulfill the artwork as a whole. Howeve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Painting is known to present one image, one captured time, which Photography had substituted that functional position a long time ago.

Considering the traditional hallmark of Painting, Lee attempts to juxtapose the other forms of art and implants those in painting. It was a novel journey for her; questioning herself, “Within the canvas, how can the several temporal moments be captured? And how can I deliver the sequential order in a communicative form? In other words, the collision of times can be seated in one space, but in an order. Can it work as ‘one unit’?” 

Lee’s focus on encapsulating ephemerality, the “fragility of beings in time” is shifted and reconstructed to a new chapter, colliding “fragile moments”. Lee intends the layers (upholding the different times) to be read as scene after scene, per se ‘as cinematic’. And also the layer to work as a page of a book, which kindly guides a way to engage. 

In her painting, the arrays of abstraction forms empower the visional flow. The brush strokes, tones in color, and etching marks take narratives. Then the weaves occur at some point, it is to open the conversation in the context of the order, which can be discussed by following the order of the creation or by following the intentional twist in the weave. She desires audiences to visually disassemble, assemble, and make it into their creative works. Those interactions are welcome and open to untie the weaves. 

To accomplish Lee’s ideology, she had to emphasize the existence of previous layers. However, unfortunately covering the surface is what painting does. Layering will ultimately deduct the space to work on, and it would be unable to show how it proceeded. To avoid that, Lee explored many ways and searched for the execution. Dis-piling the adhered papers, and painting in the leanest way to avoid the full covering, but those were still containing the limitation. Beyond many methodologies she tried, her breakthrough was by the ‘EFFACE’; The re-awakening of the previous event. 

This way, the first sequence, scene, chapter, page, sentence, and more so the first letter of the artwork can be revealed. The concealed parts will re-awake at the very end, so the different periods could end up being in one. The genuine beauty of effacing is that the most frontal and the most behind layer can actively associate to influence whichever’s current, and even whoever’s observing the moment.


한글 2024 Artist Statement

추상화가인 Ayana Hanbich Lee는 뉴욕에 머무는 동안 동아시아와 서양의 종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목격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녀는 해외 생활에서 문화적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고, 종이라는 재료에 정서적으로 얽혀 있다는 것을 종이를 자신으로 반영했습니다.

이씨의 초기 작품에서는 그리는 과정에 머리카락 뿌리를 묻어 현재의 존재감을 유지했다. 이후 신문은 현재성을 전달하려는 노력으로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종이의 특징, 형식적 변형의 유연성 덕분에 그녀의 마음과 감정 상태에 대한 즉각적인 존재감과 즉각적인 투사를 쉽게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물질을 물리적으로 얽히고 싶었지만,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찢어지는 듯한 물리적인 느낌이 강해졌고 주름도 심해졌다.

이씨의 종이 시리즈 그림 중 하나는 '올다'이다. 그녀의 모국어 한국어에서 '울다'라는 단어에는 두 가지 정의가 있습니다. 하나는 울고 있고 다른 하나는 종이에 주름이 져있습니다. 그녀는 종이의 주름을 사용하여 자신의 현재 상태(감정의 복잡성에 초점을 맞췄음)를 전달했으며, 물질에 대한 자신의 투영은 시리즈를 더욱 심층적인 감정의 폭발로 이끌었습니다. 이 시리즈 이후 요소들의 겹침은 그녀의 작품에서 중요한 언어가 되었고, '순간'의 압축은 여전히 그녀의 그림에서 핵심 가치이다.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이씨의 색다른 예술 형태인 문예창작이 표현의 한 방식으로 활용됐다. 예술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연구는 어떤 면에서 병치되어 타자의 특징을 심어 한계를 넘어서려고 탐구한다. 창의적인 글쓰기와 대본 쓰기가 그녀에게 영향을 주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그림을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회화가 실내의 목적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관객과 자신에게 확신시키기 위함이다. 예술은 현재의 세계를 다루고, 담고, 반영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복잡해진 차원의 시대(VR, AR 메타버스 등)에서 그녀는 회화의 일반적인 이념과 이 '세계의 순간'에 회화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다시 말하고 싶었다. 그녀의 임무는 2차원 회화 안에 다차원적인 것을 모으는 것이었다. 단순히 시각적인 트릭이나 두께에 의해서가 아니라, 시대의 물리학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덧없음의 캡슐화, 즉 '시간 속의 존재의 취약성'에 초점을 맞춘 이씨의 초점은 옮겨져 '시간의 취약성'이라는 새로운 장을 구축했다.

문예 창작 및 비디오그래피와 같은 다른 형태의 예술은 이야기를 만들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전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결과적인 풍경과 장면을 취합니다. 이러한 형식에는 페이지를 추가하고 더 많은 영화를 촬영(또는 지속 시간을 연장)하여 시퀀스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회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사진이 오래 전에 그 기능적 위치를 대체했던 하나의 이미지, 하나의 정지된 시간을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화의 특징을 깨기 위해 이승환은 서로 다른 시간의 충돌, 결과적인 시퀀스를 하나의 공간에 담아내려고 했다. 그녀는 자신의 붓질과 형태를 움직이는 이미지(그 자체로 '영화적')로 읽힐 뿐만 아니라 장(읽을 책의 순서)으로도 읽히도록 의도했습니다. 그녀는 자신의 그림을 단지 캔버스 위에 그린 비디오그래피이자 창의적인 글쓰기로 본다.

그녀의 그림에서 추상적인 형태의 배열은 시각적 흐름에 힘을 실어줍니다. 붓터치, 색감, 에칭 자국이 내러티브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직조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것은 질서의 맥락에서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고, 이는 창조의 질서나 직조의 의도적인 리드로 논의될 수 있다. 시각적으로 분해하고 조립하여 창작 작품으로 만드는 것은 관객의 해방에 이른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환영받으며 연결을 풀 수 있도록 열려 있습니다. 수년 동안 이씨는 '전시회에 남는다'는 자신의 이념을 자신의 그림에서 어떻게 실행해야 할지 고민했다.

그림은 표면을 덮는 일이기 때문에 그림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드러내는 것은 거꾸로 된 개념이었습니다. Lee는 그렇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했습니다. 하나는 접착된 종이를 없애는 작업이었고, 다른 하나는 완전히 덮이지 않도록 최대한 얇게 페인팅하는 작업이었습니다. 다시 방문하지 않고(=나머지 및 칠하기) 칠해진 부분을 깨끗하게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그녀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차감하는 것이다. 그녀의 탐구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그녀는 마침내 'EFFACE'라는 아이디어로 설정했습니다. 이전 이벤트의 각성.

그림의 표면에서 직접적으로 사라지는 것은 숨겨진 부분을 깨우고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의 첫 번째 장은 그림의 마지막 부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론은 시퀀스(채색된 순서)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며, 창작자가 의도한 순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완벽하게 제공할 수 있다.

(translatated by Google translation)

——————————————————————————

2023 Artist Statement (한글 ‘작가 설명문’은 아래 있습니다.)

1) A phenomenon happens as a result of time.

2) A form is created in accumulated piles of time.

3) A piece of art is a record made in layers by following chronological order.

4) The movement in an artwork is the accumulation of time.

5) The layers represent the sequence of records.

6) By the Natural Law, the layers pile upwards, outwards, and sideways

Under these perspectives, I practice ‘layers of times’ in a painterly manner and study further to expand beyond #6.

Arranging the objects and elements in one place capture different period (including physical distance). Sometimes, It is fabricated from the actual sequence. It is to rearrange a new scene. The time gap (entanglement; parallax) between objects is captured in one shot, one spot, and one scene.

Transparency, textural energy, and etching techniques are added to give the audience room to engage and have their theory behind them. I encapsulate the existences of different time zones and put them in each artwork. Sometimes in a still-life painting, and use a pile of objects is the subject of the picture. In the context of the object’s physicality in time, I borrow the Realism style to enhance the ‘accumulation of time’ in one place.


I approach the ‘accumulation of time’ as the subject of my painting and execute artworks through still life and abstract paintings. The layer is the visual evidence of the time (like videography of moments). It also encapsulates the process of painting, which was a presence. I use layers that are made at different times. A layer is a snapshot of a time. Layers assemble and get tension between the times, and translucency is used to conceal or to reveal. I use my own drawing/painting as the source of the layer of the painting and let it decide the tone of the voice to lead the entire painting.

In between each layer, take a different period in the break, where I reveal the hint of the period of time-blocks by dryness and length of drips. It also suggests the order of the event that had happened. I desire people to play a video of the making process by following the revealed (sometimes concealed) hints in layers. The movement of the paint creates different noise levels to make textural diversity.

Carved or Etched to reveal the behind layer, dried at different speeds that weave, un-hinting the order, and blurred to disguise. It conceals and reveals a specific layer to encapsulate in various methods of suggesting a painting process. The ambiguity of snapshots of time creates more room for audiences in a dialogue of layers, which in a painterly manner, indicates the encapsulation of the process of making artwork. Gestural and textural elements in the painting make it more dimensional. Textural but still in 2D to contain the work process in layers, like the painting, is a recorded video, simultaneously suggesting how it should be read.

1) 하나의 현상은 시간이 만든 결과이다.   

2) 하나의 형태는 시간의 더미가 만든 축적물이다. 

3) 하나의 미술은 시간의 순서가 겹으로 기록된 것이다. 

4) 작품 안에 있는 움직임은 시간을 쌓은 것이다.

5) 작품의 겹은 기록의 순차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6) 작품에는 시간대가 옆으로, 위로, 밖으로 쌓이는 자연법의 순서,

그 이상으로 넓히려는 회화 작가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미술에 담긴 사물/엘레멘트의 (배치)순서는 다른 시간대(물리적 거리감)의 존재를 하나의 선상에 담아낸 것이고

실제-순차와는 다르게 해석되고, 재배치를 하여 형태의, 현상의 관계성을 새롭게 정립 시키기도 한다. 

그렇게 물건 간의 시간의 간격(뒤엉킴;시차)을 한 곳에 담아낸다.  

투명성과 에칭 기법 등의 활동성/행동성이 더해지며, 겹의 순차를 관객들이 해석할 수 있게 공간을 내어준다. 

다른 시간대의 존재를 나열하여 한 작품에 담기도 하고, ‘시간의 축적물’을 보고 사실주의적 화풍으로 그려내기도 한다.

회화 작가로서, ‘시간의 축적’을 사물 주제로, 표현 방법으로 접근한다. 

겹은 곧 시간의 기록이고, 과정의 기록이다.